[Java] 자바 Collections Framework (Framework vs Library)




자바 알고리즘 공부를 시작하며, 다양한 자료구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Collections 프레임워크를 자주 접하게 되었다. 언제 어떤 클래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지 보다 빠르게 판단하기 위해, 관련 내용을 정리해보고 적절한 알고리즘 설계에 활용해보고자 한다.

더불어 Collections가 라이브러리가 아닌 프레임워크라는 점을 통해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가 코드에서 각각 어떻게 다르게 동작하는지도 확실히 이해해보려고 한다.



Java Collections Framework, JCF

복잡한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직접 다루는 대신, 표준화된 API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JDK에서 제공하는 하나의 프레임워크이다. Java 1.2(Java 2)에서 등장하였으며, java.util 패키지에 HashMap, ArrayList, Vector 등의 자료구조와 정렬, 이분탐색 등의 알고리즘이 클래스로 제공되어 개발자가 직접 구현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

자바 프로그램에서 JCF는 프레임워크로서 동작한다.
우선 프레임워크는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더 포괄적인 개념이다. 그러나 개발자의 코드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프로그램을 주도하는 주체가 어느 쪽인지에 따라 둘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다.


  • 라이브러리 관점

    ArrayList<Integer> al = new ArrayList<>();

단순히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에는 개발자가 필요에 의해 라이브러리 코드를 호출하며, 프로그램의 흐름을 주도하는 쪽은 개발자이다.


  • 프레임워크 관점

    ...
        
    Collections.sort(al, new Comparator() {
        // 개발자의 코드
        @Overide
        public int compare(Integer o1, Integer o2) {
            return -Integer.compare(o1,o2);
        }
    });


반면 프레임워크에서는 프레임워크가 프로그램의 흐름을 주도하는 제어의 역전(Inversion of Control, IoC)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은 코드는 개발자가 이미 정해진 구조와 규칙에 따라 코드를 작성해야 하며, 이에 따라 프레임워크 코드가 개발자의 코드를 호출하여 미리 정의되어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주체는 프레임워크이다.

이러한 제어의 역전이 일어날 수 있는 이유는, 프레임워크는 이미 정해진 추상화된 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 틀은 추상화되어 있기 때문에 개발자가 구체적인 동작 방식을 몰라도 이 도구를 사용할 수 있고, 이미 잘 짜여진 인터페이스와 클래스 간의 의존성으로부터 정해진 흐름에 따라 내 코드가 동작할 수 있게 해준다. 즉, 프레임워크 내부에 이미 제어 흐름에 대한 주도성이 정의되어있는 것이다.


차이점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를 위해 예시로 코드를 작성해봤지만, 이 차이는 물리 계층이 아닌 논리 계층에서 이해하는 것이 좋다.

스프링 사용자라면, 스프링 프레임워크 컨테이너 가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 를 호출하여 의존성을 주입 프로그램의 흐름을 주도하는 기능 수행 하는 것을 떠올려보면 이해가 될 것이다!


라이브러리는 내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내 입맛대로 골라 쓸 수 있는 제공된 기능을 언제 어떻게 사용할지 개발자가 결정한다 연장 도구 키트라면, 프레임워크는 내 프로그램의 일부를 완전히 믿고 맡겨버리는 어떻게 이런 결과물이 나오는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내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해서 제공해준다 위탁업체라고 이해해볼 수 있겠다.



Collection Interfaces

컬렉션 프레임워크는 Collection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있다.
컬렉션 프레임워크에서 다루는 인터페이스는 크게 두 그룹, Collection 인터페이스와 Map 인터페이스로 나뉘며 이를 상속하여 구현된 클래스들로 구성된다.



공식 문서에서는 Collection 인터페이스의 범주를 위의 두 인터페이스 전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Map 인터페이스는 java.util.Map, Collection 인터페이스는 java.util.Collection으로 상호 간 의존성이 없는 관계이다. 즉 Map 인터페이스가 Collection 인터페이스의 서브 인터페이스인 것이 아니다.

그러나 Map 인터페이스에서는 collection-view라는 특별한 기능을 제공하여 컬렉션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따라서 둘은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되며 Collection이라는 이름 아래 하나의 프레임워크로 묶일 수 있게 된다.

포괄적으로 사용하는 Collection이란 명칭과 실제 프레임워크에 구현된 인터페이스의 이름을 구분하자.


이제 컬렉션 프레임워크에서 자주 사용하는 클래스들이 어떤 자료구조를 내부적으로 어떻게 구현했는지, 어떠한 데이터를 다룰 때에 사용하기 적합한지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자. 동기화는 따로 다루기 위해 싱글스레드 환경만 고려하였다.



Queue Interface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집합이자, 선입선출의 규칙에 따라 삽입/삭제의 위치가 정해져있는 Queue 자료구조이다.

PriorityQueue


    PriorityQueue<Integer> pq = new PriorityQueue<>();

    // 큰 수부터 나오도록
    PriorityQueue<Integer> rpq = new PriorityQueue<>(Collections.reverseOrder());

특징

  • 기본적으로 우선순위가 낮은 수(작은 수)부터 나온다.
  • Comparator를 오버라이드한 클래스를 따로 정의해, 객체에 대한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다.

  • 주요 메서드

    • offer, poll, peek, isEmpty, size

    add, removeoffer, poll과 같은 역할을 하지만, 연산에 실패하면 에러를 발생시킨다는 차이가 있다.

성능

  • 성능 때문에 사용한다기보다, 큐 자료구조에서 먼저의 기준이 들어온 순서가 아닌 특별한 기준이 되어야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다.



List Interface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집합인 List이다.

ArrayList


    ArrayList<Integer> al = new ArrayList<>(20);

특징

  • 크기가 고정적인 배열과 달리, 데이터의 양에 따라 크기를 조정하는 동적 배열이다.

  • 내부적으로 자바의 Object[] 배열을 사용한다.

    • 배열이 꽉 찰 때마다 배열을 복사하는 방식으로 크기를 조정한다.

    • 연속적인 메모리를 갖는다.

  • 주요 메서드

    • add, get, remove, contains, size

성능

  • 배열을 이용하므로 인덱스를 이용하여 요소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 맨 앞/뒤가 아닌 곳에 삽입/삭제가 일어날 경우 요소들이 재배치되므로 느리다.

  • 배열이 꽉 찰 때마다 복사가 일어나 지연이 발생한다.


삽입/삭제보다 데이터 검색이 빈번히 일어날 때 적합하다.

LinkedList


    LinkedList<Integer> al = new LinkedList<>();

특징

  • 메모리의 이곳 저곳에 위치한 노드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연결 리스트 자료구조이다.

  • 데이터뿐만 아니라 포인터를 저장할 공간도 필요하다.

  • Queue 인터페이스와 List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상속받는다.

    • 연결리스트 자료구조 자체가 큐의 선입선출 동작 방식과 잘 호환되는 점이 있다.Queue 인터페이스를 연결리스트 방식으로 구현한 것이 LinkedList라고 볼 수 있다.

성능

  • ArrayList와 달리 삽입/삭제 시 데이터 이동이 필요하지 않다.

  • 단 연속적인 메모리가 아니므로 삽입/삭제 위치까지 이동하는 시간이 더 걸린다. 즉 탐색 성능이 좋지 않다.

  • 무작위 접근이 아닌 순차 접근만 가능하다.


이론 상 데이터의 삽입/삭제 연산이 많은 경우 적합하다.

또한 Queue를 구현할 때 사용할 수 있으나, 사실 동적 배열로 구현되고 최적화된 ArrayDeque라는 더 좋은 대안이 있어 실제로 LinkedList 컬렉션은 잘 사용하지 않는 듯하다.

이미 내부적으로 튜닝이 잘 되어있기 때문에 ArrayList로 충분하다!



Map Interface

키-값 쌍의 구조를 가진 데이터들이 순서를 유지하지 않은 채 모여있는 자료구조이다.

HashMap


    HashMap<String, String> hm = new HashMap<>();

특징

  • key-value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 키 값은 고유하며, 밸류 값은 키가 다르다면 중복이 가능하다.

  • 키 값으로 해시함수를 실행한 결과로 저장할 메모리를 결정한다.

  • 주요 메서드

    • put, remove, get, replace

성능

  • 해시 함수를 통해 데이터의 저장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검색, 삽입/삭제 연산이 빠르다.

  • 삽입 또는 정렬 순서가 보장되지 않는다.

  • 데이터가 저장되는 단위인 버킷이 실제 사용량에 비해 많이 할당되는 경우 메모리 낭비가 심하다.

빠른 검색/삽입/삭제가 필요할 때 적절하다.

TreeMap


   TreeMap<Integer, String> tm = new TreeMap<>();

특징

  • 저장과 동시에 키 값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된다.

    • 내부적으로 레드-블랙 트리(RBT)로 구현되어 있다.
  • 주요 메서드

    • put, remove, get, replace
    • firstKey, firstEntry, lastKey, lastEntry

성능

  • 연산이 일어날 때마다 정렬이 일어나므로, 해시맵에 비해 삽입/삭제 성능이 좋지 않다.

정렬된 데이터의 안정적인 검색 성능이 필요할 때 적합하다.

연결리스트를 기반으로 한 LinkedHashMap을 이용하면 입력된 순서대로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Set Interface

순서를 유지하지 않으며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데이터의 집합 Set이다.

HashSet


    HashSet<String> hs = new HashSet<>();

특징

  • 내부적으로 HashMap을 사용하며 메모리가 불연속적이다.

    private transient HashMap<E,Object> map;

    // Dummy value to associate with an Object in the backing Map
    private static final Object PRESENT = new Object();

  • HashMap<E,Object>을 가지고 있어 해시맵의 해시 함수 기능을 재사용하며, 밸류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PRESENT라는 더미 값을 넣어준다.

  • 중복을 자동으로 제거해준다.

  • 주요 메서드

    • add, remove, contains, size

성능

  • 해시맵의 장점을 동일하게 가지되, 중복된 요소를 허용하지 않는 집합 자료구조를 구현할 때 사용한다.

TreeSet


    TreeSet<String> ts = new TreeSet<>();

특징

  • 내부적으로 TreeMap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오름차순 정렬을 수행한다.

  • 주요 메서드

    • add, remove, contains, size
    • first, last

성능

  • 성능이라기 보다 중복된 요소를 허용하지 않는 집합 자료구조가 정렬된 상태를 유지해야 할 때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LinkedHashMap을 사용하는 LinkedHashSet을 입력 순서 유지에 활용할 수 있다.



🧐 Collection 인터페이스 별 특징 정리

알고리즘 문제를 해결할 때, 각 클래스들이 자료구조로서 어떻게 사용되면 좋을지도 함께 생각해보았다.

List

  •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집합
  •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
  • 인덱스를 사용해 요소에 접근해야할 때

  • 구현된 클래스
    • ArrayList, Vector, LinkedList
    • 동적 배열 또는 연결 리스트 형태로 구분

Queue

  •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집합
  •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
  • 선입선출이라는 특별한 삽입/삭제 연산이 필요할 때 활용

  • 구현된 클래스
    • LinkedList, PriorityQueue

Set

  • 순서를 유지하지 않는 데이터의 집합
  •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 데이터의 정렬이 필요하다면 TreeSet, 빠른 삽입/삭제/검색 성능이 필요하다면 HashSet

  • 구현된 클래스
    • HashSet, TreeSet

Map

  • <K,V>
  • 순서를 유지하지 않는 데이터의 집합
  • key 값은 고유한 값으로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으나, value 값은 중복을 허용한다.
  • 데이터의 정렬이 필요하다면 TreeMap, 빠른 삽입/삭제/검색 성능이 필요하다면 HashMap

  • 구현된 클래스
    • HashTable, HashMap, TreeMap



  📁 참고 자료
❗️ Java SE 11 & JDK 11 docs

© 2024 do. Some rights reserved. Powered by Hydejack.